오늘은 구내염 원인 증상 치료법 알려드릴게요. 아무리 건강한 사람이라도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과로를 하게 되었을 경우에 구내염을 한 번씩 겪어본 경험이 있으실 것 같아요. 구내염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 발병하게 되는데요.
구강 점막에 발생하는 구내염은 다양하면서도 모양이 서로 비슷하여 감별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세심한 관찰이 필요한데요. 그렇다면오늘은 많은 분들에게 발병하기 쉬운 구내염 증상 원인과 빨리 낫는 법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구내염이란?
내염이란 구강에서 발생하여 통증을 동반하는 염증성 질환을 통칭하는데요. 구내염은 증상별, 발생 부위별, 원인별 등 소견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구내염은 각 질환에 대하여 일률적으로 적용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요. 대부분은 여러 분류법들을 혼합하여 구내염을 분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으로구내염은 궤양성 구내염, 수포성 구내염, 미란성 구내염으로 나뉩니다.
구내염 원인 증상
구내염의 원인과 발병 요인은 매우 다양한데요. 일반적으로 세균감염, 결핵감염, 매독감염, 곰팡이 감염, 바이러스 감염과 같은 요인들이 있습니다. 또 비타민이나 철분 결핍 등 영양장애로 인한 요인들도 있습니다. 건강하신 분들이라도 신체의 피로나 과도한 스트레스, 고열, 감기 질환으로 인한 면역장애와 위장장애, 구강 내 위생 불량, 충치, 외상 등이 발병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구내염의 종류는 어떤 것들 것 있을까요?
1) 궤양성 구내염
궤양성 구내염으로는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염, 베체트 증후군, 외상성 궤양, 욕창성 궤양이 있는데요. 특히 외상성 궤양은 음식 등을 씹다가 치아로 구내 점막을 깨물거나 외부 손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대개 2주 이내에 자연 치유가 되는데 이후로도 구내염이 지속되는 경우, 구강건조증, 면역결핍, 악성종양 매독 등 다른 질환과 감별하기 위한 조직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2) 수포성 구내염
수포성 구내염로는 천포창, 유천포창, 포진성 치은 구내염, 구순포진, 대상포진, 포진성 구협염, 수족구병 등이 있는데요. 특히 수족구병 바이러스는 6~8월 유행하며, 소아에게서 발병이 많이 됩니다. 수족구병은 3~5일간 잠복기를 거친 후 피부의 특정 부위(손, 발, 둔부)와 구강 내 입천장, 혀, 볼, 점막에 수포가 형성되는 전염성 피부 점막 질환인데요. 발열, 코감기, 설사 등과 함께 복통, 두통, 경부 림프절 비대가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미란성 구내염
미란성 구내염으로는 다형홍반, 구강 칸디다증이 있는데요. 특히 다형홍반의 경우에는 급성으로 점막이나 피부에 염증이 나타나며, 모세혈관의 확장, 구진, 결절이 생깁니다. 병이 진행되면서 서로 융합하여 모양이나 크기가 다양해지며, 수포, 미란, 출혈들의 소견을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4) 기타
이 외에도 균열설, 설모증, 지도형설(양성 이동성설염), 방사선 점막염 등이 있습니다. 이렇게 구내염은 감염 원인과 증상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내염 치료법
구내염은 대부분 2~3주 정도면 자연치유되지만 빠르게 치료하기 위해서는 병원에 내방하여 적절한 처치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구내염에 쓰이는 약제들로는 진통제, 항히스타민제, 국소스테로이드제, 면역억제제,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항생제, 불소제, 경구청정제, 영양결핍 치료제, 타액보조제 등이 있는데요.
다양한 구내염의 종류에 따라서 일부 약제들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내염에 걸렸을 때 구강 내에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평소에 구강청결제 등을 사용하고 영양을 보충함으로써 빠른 회복을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구내염 원인 증상 치료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았는데요.구내염은 체력 소진, 스트레스, 영양결핍 등으로 인한 요인들도 있으니 구내염이 왔을 때 잘 먹고, 잘 자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 기억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